본문 바로가기
칼럼

<기고> 울릉도의 대변신 -4-석포 언덕에서 독도를 바라보며

by 빠피홍 2023. 12. 11.

<기고> 울릉도의 대변신 -4-

석포 언덕에서 독도를 바라보며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동백꽃 꽃피는 내 고장 울릉도’를 제목으로 한 독도를 지켜낸 울릉도 청년 독도의용수비대원들이 살았던 그 시절을 기억하기 위한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울릉도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은 6월1일 남한권 울릉군수 외 기관단체장들이 모인 가운데 특별전 개막식을 개최했다.

 

독도의용수비대 기념관이 개관된 지도 벌써 7년이 되었다. 2005년 7월에 독도의용수비대 지원법이 제정됨에 따라 기념사업회가 결성되고 기념관도 만들어졌다. 전병헌의원의 발의로 이루어 낸 험난한 여정이었다. 그러나 5.18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활약에 비하면 아직도 갈 길이 먼 것 같다.

 

‘5.18민주화운동 기록관’과 ‘5.18기념재단’ 그리고 ‘5.18기념공원’ 등이 있고 기념공원만 해도 1997년5월 국립5.18민주묘지가 만들어지면서 국제회의장, 다목적실, 대공연장, 기념문화관, 5.18 상징탑, 5.18 추모공간 등 62,000평이나 되는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마치 민족의 성지인양 떠받치고 있다. 뿐만 아니다. 1994년8월에는 기념재단을 만들어 광주시민, 해외동포, 국민들의 성금 그리고 피해자들의 보상금을 출현하여 희생자들을 위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1952년 특무상사로 제대한 홍순칠(洪淳七)이 당시 울릉도경찰서 마당 한쪽에 “시마네현 오끼군 다케시마(島根縣隱岐郡竹島)라고 쓴 푯말이 놓여있는 것을 보고 분노하여 그때부터 독도를 지키려는 결심을 했다는 이야기는 우리 모두 익히 알고 있다. 제대 후 울릉도로 돌아온 그가 바로 독도수비대를 조직하여 독도로 건너가 그로부터 3년8개월간 대원들과 함께 일본으로부터의 독도를 지킨 내용이 그의 수기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1986년 월간 학부모에 ‘독도에 숨은 사연들’이 연재되었으며 1997년8월에는 도서출판 "해인"에서 "이 땅이 뉘 땅인데..."를 출간했다. 난 그의 장남 홍인근으로부터 이 책을 전해 받아 70회에 걸쳐 ‘울사모 카페에 연재한 바 있다. 지금 홍순칠 대장의 수기를 보려면 이곳이 아니고는 찾기 어렵다.

 

33인으로 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는 홍순칠 대장을 빼고서는 존재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맑은 날 독도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념관 호국광장/헤럴드 자료

 

 

홍대장의 할아버지인 홍재현(洪在現)이 1897년도에 독도를 몇 차례 다녀오고 일본인들의 도항(渡航)을 중지해달라고 일본까지 다녀온 이후 홍대장에게 “순칠아 할아버지는 울릉도를 개척했는데 요즘 밝은 세상에 어찌 독도를 그냥 둘 수 있느냐, 힘든 일이지만 결코 독도를 그냥 둘 수는 없다고 하시며 나의 손목을 힘껏 잡으시고 멀리 독도를 바라 보셨다”는 훗날의 술회는 아마도 젊은 청년이던 홍대장이 굳게 결심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내가 초등학교 입학 전에 와록사의 대아리조트 자리에 있던 할아버지 집에 몇 차례 찾아뵙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생생하다. 벽에 글을 잔뜩 써놓은 곳을 막대로 가리키며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일갈하시던 그 모습이 지금도 엊그제인양 눈에 선하다.

 

홍대장은 집안사람이어서 어릴 때부터 늘 교류하던 사이였다. 돌아가신 어머니가 홍대장을 매우 좋아하셨는데 한 번은 우연히 지금의 울릉군의회 아래 개천 옆에 홍대장의 큰 아버지 홍종욱(洪鍾旭, 택호가 홍구장 또는 금동어른)집의 마루에 어머니와 나와 같이 앉게 되었다. 내가 초등학교 저학년 때였으니 아마도 홍대장이 제대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던 것 같다.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어머니가 홍대장에게 어디를 다쳤느냐고 물었고 홍대장이 바짓가랑이를 올리더니 다리를 보여주는데 화상자국이 꽤 넓은 듯 했다. 아마 오른쪽 다리였던 것 같은데 꽤 깊은 상처여서 어린 내가 놀랐던지 지금도 그 모습이 엊그제인양 생생하다.

                                      시계방향으로 개관기념식, 특별전 개관, 전관예상도, 유병태회장

 

2017년10월27일 드디어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이 개관되었다. 총 사업비 129억원을 들여 천부4리 94번지 2만4천302㎡(7천351평)의 부지에 건축 연면적 2,118㎡(640평)의 지상 2층 규모로 완공되었다. 2012년 서울에 있는 기념사업회 사무실에서 이병석 회장(국회 국토해양위원장)과 정윤열 군수가 기념관 건립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기념사업회가 기념관 건립에 필요한 자금 확보와 건립사업을 총괄키로 하고 울릉군에서는 부지를 제공하기로 한 것이다. 울릉군 북면 천부4리(석포리)를 기념관 부지로 제공하고 기념사업회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기념관 건립 기본구상과 타당성 조사를 한 후 기념관과 청소년 종합수련시설 건립에 들어가기로 한 것이다. 기념관의 위치는 절묘했다. 정윤열군수의 표현대로 “맑은 날 육안으로 독도를 조망할 수 있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곳이며 안용복장군 기념관 건립부지와 인접해 국민들의 독도영유권 수호의지를 다지고 홍보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가 된 셈이다.

 

2015년10월30일 당시 나는 ‘독도의용수비대 가족협의회’의 유병태 회장과 함께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기념관 현장을 찾아본 적이 있었다. 33인 대원의 한 사람이었던 유원식 대원의 장남으로서 ‘독도의용수비대의 활동과 기념사업의 방향연구’라는 독도수비대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을 펴낸 그가 현장을 찾아보는 것은 어쩜 당연했을 것이다. 공사비 증액문제로 공사가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마침내 울릉도 석포리에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2005년7월 법이 제정된 이후 12년 만에 수비대원 33인의 활약상과 각종 유물들이 영원히 소장되고 후손들이 이를 기릴 수 있는 터가 마련된 것이다. 기념관 1층에는 의용수비대가 창설돼 활동(1953년 4월 20일~1956년 12월 30일)했던 1950년대 독도의 자연을 재현해 놓은 모형과 의용수비대 역사 기록물, 일본인이 독도에 설치했던 독도 팻말 10여 점, 나무 대포, 생활상 등이 설치됐다.

 

건물 내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면 사무실과 의용수비대원 33명의 활동상 및 훈·포장, 포토존, 영상관이 있고 잔디 광장이 연결돼 있어 마치 1층 느낌을 준다. 2층에서 1층 호국광장은 계단 없이 연결돼 있다. 또 2층에는 국토 수호 정신을 되새기고 애국정신을 함양하는 교육관과 체험시설도 갖췄다. 특히 이곳은 날씨가 맑으면 독도가 한눈에 보이고 독도 형상 조형물과 독도 전망대도 설치돼 있다.

 

개관 이후 6년 동안 초창기의 어려움을 무릅쓰고 조석종 관장의 리더십이 발휘되고 있다. 알차고 다양한 행사와 수비대의 역사교육 선양을 위해 교육지원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한다든가 어린이 백일장 개최, 온라인 교육, 체험학습, VR기념관을 구축하여 영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기념관 성격상 정적일 수밖에 없는 업무영역을 동적활동으로 변모시켜 기념관을 활성화하는 모습이 엿보여 기대가 된다.

 

오랜 세월 미제로 남아있던 기념관 건립도 완공되었고 대원들의 대전현충원 안장문제도 해결되었으니 남은 과제는 5.18기념재단처럼 의용수비대의 재단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이 재단이 향후 명실상부한 유족들에 대한 예우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럴드 경제

 

2023-11-19